정호와 정이의 수양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7 21:10
본문
Download :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hwp
가. 정호의 이론
설명
4. 주경(주경)에 대한 이정(이정)의 이론(理論)
가. 정호의 이론(理論)
정호는 사랑의 이치(인리)와 생명의 이치(생리)에 대해 깨닫는 것을 수양의 目標(목표)로 삼는다.
1) 성과 경
정호의 학문 요지는 진지함(경)과 참됨(성)이다. 그것이 이른바 성·경에 의한 방법과 정좌법이다. 보냄도 맞이함도 없고 안과 밖도 없습니다. 그는 `성이란 하늘의 도이며, 경이란 인사의 근본이다. 더우기 성이 밖에 사물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이 밖에 있을 때에는 무엇이 안에 있다고 하겠습니까? 이것은 바깥의 유혹을 끊는 데만 뜻…(To be continued )
Download :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hwp( 54 )






정호는 사랑의 이치(인리)와 생명의 이치(생리)에 대해 깨닫는 것을 수...
레포트/인문사회
4. 주경(주경)에 대한 이정(이정)의 이론가. 정호의 이론정호는 사랑의 이치(인리)와 생명의 이치(생리)에 대해 깨닫는 것을 수... ,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4. 주경(주경)에 대한 이정(이정)의 이론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
다. 경과 성의 수양 방법은 이를 위한 것이다. 경공부를 하면 곧 성에 이를 수 있다`고 하여 도덕적 실천의 궁극적 目標(목표)인 성과 인(식인)을 경공부를 통해 달성하고자 한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장재가 `정성도 움직이지 아니할 수 없다`(정성미능부동)라는데 관련되어 쓴 [정성서]에 잘 나타나 있다
`이른바 정(한곳에서 차분히 마음을 안정하는 것)이란 움직일 때도 차분히 안정하는 것이요, 고요할 때도 또한 차분히 안정하는 것입니다. 정호이전의 수양론인 주정법이나 덕성지(도덕적 이성), 그리고 이물관물법 등은 모두 본체체인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런데 구차하게 외계사물을 밖에 있다고 생각하여 나를 끌어 그것을 쫓아가게 하면 이것은 나의 성을 안과 밖이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조심하여 참된 마음과 성실함을 지킬 수 있으면 사랑하는 마음(인심)은 저절로 그 내부에 보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둘을 꿰어 뚫고 있는 것이 사랑(인)이다. `널리 배워서 뜻을 돈독히 하고 간절히 물어서 생각을 가까이 하면 사랑(인)이 바로 그 가운데에 있다`는 것이다 정호는 성과 경을 근간으로 한 수양론으로써 사욕이나 사심에 빠지지도(함익) 아니하고, 본래적 자기를 잃어버리지도(망실) 아니하는 방법을 설명(說明)하려 한다. 정호는 이들에 대해 주돈이를 불교의 선적인 수양법, 장재와 소옹을 도가적 수양론자라 비판하면서 이들을 종합한 수양 방법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