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론 (언어와 사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5 03:41
본문
Download : 인식론 (언어와_사유).hwp
1. 인간은 분절음을 소리낼 수 있는 발성기관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자동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교육을 통해 말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문자는 말을 초월하려고 애쓰지만 그 반대는 아니다”1).
cf. 그러나 데리다(J. Derrida)는 문자 언어보다 음성 언어를 중시하는 고전적 입장을 로고스 중심주의라고 비판한 바 있다아
4. 따라서 말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 고유의 기호 체계다.
2. 그러나 인간 文化 속에서 언어는 일종의 특권적 지위를 지니고 있다아 왜냐하면 언어는 단지 여러 文化 요소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 다른 모든 文化 요소들을 보존하고 전달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3. 인간은 읽기를 배우기 전에 말하는 법부터 배운다.설명
인식론 (언어와_사유)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왜냐하면 언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개인들 사이의 의사소통 행위이기 때문이다 야콥슨(R. Jakobson)의 말대로 “모든 말하는 행위는 하나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거기에는 발신자, 수신자, 메시지의 내용, 그리고 사용되는 약호(略號; code)라는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2). 이러한 의사소통 행위는 인간 사회에 보편적인 교환 행위(물물 교환, 노동과 화폐의 교환, 화폐와 상품의 교환, 권리와 의무의 상호교환 = 계약, 인간과 인간의 교환 등등)에 근거를 두고 있다아
cf. 레비스트로스는 이런 관점에서 ‘근친상간의 금지’라는 보편적 규칙의 뒷면에 교환의 의무가 숨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언어와 사유
제1장: 인간 = 말하는 존재
?? 레비스트로스(L?vi-Strauss)는 인간을 ‘말하는 자’(locuteur)라고 定義(정이)했다. 문자 문명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하더라도, 인류의 선조가 수백만 년 동안 문자 없는 문명을 유지해 왔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된다.
5. 언어의 시간적 기원을 묻는 것(cf. cratylisme3))은 잘못된 물음이다. , 인식론 (언어와 사유)인문사회레포트 , 인식론 언어와 사유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인식론 (언어와_사유).hwp( 82 )
인식론,언어와,사유,인문사회,레포트
다. 이 물음은 과학적 물…(생략(省略))
인식론 (언어와 사유)
인식론 (언어와_사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따라서 언어는 도구 사용이나 기술(技術), 과학적 지식, 집단 윤리, 종교 등과 마찬가지로 인간 文化의 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