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enty-first century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22:58
본문
Download :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hwp
따라서 이를 올바르게 향유할 수 있게끔 이끌어 가는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
the twenty-first century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박물관
다. 물론 종합박물관의 경우 다양한 유물과 문화재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advantage(장점) 을 가진다. . 그러나 자세히 들어다보면 그 실상은 큰 차이가 있다아 대체적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종합박물관에 비해 특수박물관 ․ 미술관이 증가추세인데 반해 한국은 특수박물관 ․ 미술관의 증가추세 못지않게 종합박물관 또한 수와 규모가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가령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과 경주박물관, 또는 그 외 국 ․ 공립박물관의 유물과 큰 차이점은 찾아보기 힘들며 전시방법이나 운영시스템 등 역시 크게 차이점이 없다. 따라서 본 Plan(계획서)에는 기존의 박물관 ․ 미술관의 특징을 탈피하여 일반 대중에게 쉽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는 대안, 특히 국 ․ 공립의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박물관정책이 아닌 지역중심, 산업중심, 더 나아가 상업적인 요소까지도 접근하여 박물관 스스로가 자립하고 발전할 수 있는 대안 및 계획 등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항상 장엄하고 웅장한 공간에서 전시하는 것보다, 또한 눈에 의해서만 습득되어지는 것보다 자유롭고 편하며, 오감에 의해 더욱 쉽고, 올바르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의 필요하다. 2. 추진정의
3. 추진목적
the twenty-first century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Download :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hwp( 62 )
1. 주제 명칭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현재 전 세계의 박물관 ․ 미술관 숫자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아 이는 비단 한국도 예외는 아닐것이다. 그러나 한국이라는 공간의 규모와 지역적 특색, 중앙집권정책 특징 등을 고려 할 때 전국의 국 ․ 공립박물관은 그 특색을 표출하기는 어렵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 ․ 공립 박물관의 경우 대다수가 종합박물관이란 점이다. 따라서 이는 관람객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설명
순서
1. 주제 명칭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2. 추진개념
삼국시대의 옹관, 고려시대의 청자, 조선시대의 산수화, 현대의 다양한 문화 ․ 예술품까지 인류가 생활하면서 사용한 모든 사물은 현재 ․ 미래를 살 우리 인류의 자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