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라고지(Andragog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1 01:44
본문
Download : 앤드라고지(Andragogy).hw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앤드라고지(Andragogy).hwp( 31 )
,인문사회,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앤드라고지
1. 앤드라고지의 관념
2. 앤드라고지의 형성배경
3. 앤드라고지의 기본 전제 및 가정
4. 앤드라고지의 과정
5. 앤드라고지의 한계와 가능성
1. 앤드라고지의 관념
* 어원 ; 희랍어 ‘andros`(man) 와 ’again`(to lead)로부터 형성된 신어로써 ‘성인들을 이끈다‘는 뜻이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책마다 다른 것으로 보아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겠다.
* 성인교육학의 기원 ; 성인학습을 하나의 통합된 관념으로 파악하려는 점에서 분리된 관념과 인식, 연구조사 결과들을 통합하려는 시도들이 1949년 오버스트리트의「성숙한 인간」, 1950년 노울즈의 「비형식적인 성인교육」,1954년 브루너의 「성인학습theory(이론)」, 1959년 키드의 「성인은 어떻게 배우는가」,1960년 미국의 성인교육 핸드북에 있는 「성인학습theory(이론)에 관한 기브의 장」,1964년 밀러의 「성인교육의 교수와 학습」와 같은 출판물을 통해서 시도되었다. 성인 학습의 통일된 theory(이론)이라는 관념을 위한 ‘andragogy’라는 호칭은 초기학습theory(이론)인 ‘pedagogy’로부터 그것을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유고슬라비아 성인교육가인 사비스릭에 의해 1967년에 처음으로 그 호칭과 관념이 introduction되었다.앤드라고지 , 앤드라고지(Andragogy)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앤드라고지(Andragogy)
앤드라고지는 희랍어 ‘andros`(man) 와 ’again`(to lead)로부터 형성된 신어로써 ‘성인들을 이끈다‘는 뜻의 용어 입니다. 그 후 이 단어의 사용 유래(由來)를 추적하는 것이 많은 학자에 의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이해력 있고 조직적인 통합된 theory(이론)적인 구성보다는 관념과 원칙의 보다 서술적인 기초에 그쳤다.
다. 성인교육 혹은 성인 학습론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이 때 요구되었던 것은 하나의 통합적인 관념 형성의 노력이었고 잠시동안 그러한 관념이 유럽에서 발전되어왔다. 이 후, 미국 성인 교육학자인 Malcolm S. Knowles가 미국학계에 처음으로 `Andragogy`(성인 교육 혹은 성인 학습론)라는 용어를 등장시키면서 정확한 관념 정의(定義)가 내려지게 되었다. 성인교육 혹은 성인 학습론에 대해 introduce하고 있는 글입니다. 1883년 독일의 교사인 케프(Kapp)에 의하여 만들어졌으나 관념에 대한 정의(定義)는 개발하지 못하였다.
▣ 협의의 입장
① 정의(定義) - 성인들의 학습활동을 돕는 기예와 과학 (Knowles : 노울즈, 1970)
② 특징 - ⅰ) 학습자의 발달단계 및 생활단계에 알맞은 최적의 원조 기술을 체계화하…(skip)
앤드라고지는 희랍어 ‘andros`(man) 와 ’again`(to lead)로부터 형성된 신어로써 ‘성인들을 이끈다‘는 뜻의 용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