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8:27
본문
Download :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hwp
한국 시가의 미의식의 범주를 따지기 전에 세계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아름다움’에 대해서 잠시 알아보고 한국의 것과 비교해보며, 한국 시가만의 특수적인 미에 대해서 깊게 알아보도록 하자.
(2) 우아미
다. 문학은 언어로 된 미의식의 표현이며, 인간과 세계의 정신적 작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문학에 나타는 미의식의 정체를 분석하는 것은 철학적으로도, 또 국문학적으로도 의미있는 탐구가 될 것이다.
.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Download :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hwp( 89 )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2. 보편적 미적 범주
모든 문학작품은 어느 미적 범주로 존재하며, 미적 범주의 선택은 삶의 의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를 중심으로 국문학 전 장르의 미의식의 흐름을 규정하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의식의 체계에 중점을 두고 내용을 전개하겠다. 그 중에서도 본 발제는 조동일의 연구 조동일, 미적 범주, 한국사상대계 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3.
쉴러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
(1) 숭고미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한국 시가의 미의식 체계
숭고미는 롱기누스(Longinus)의 <숭고에 관하여>라는 글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아무런 문학적 도구와 장치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던 시대에도 미(美)는 자연스레 우리의 몸과 몸짓으로 행해져 온 것을 여러 사례(instance)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문학적 도구인 언어를 가지고 있는 우리들은 우리의 ‘미’를 문학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학은 단순한 미의 나열이 아니라, ‘미’를 감지하고 창조해내는 의식적인 작용이며, 인간사에 있어서 ‘예술’로 구현된 정신적 산물이며, 이것을 또한 ‘미의식’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미의식의 탐구는 국문학 분야에서도 자주 다루어졌다. 그는 우리의 이성이나 판단력과 관계없이 우리의 정신을 황홀케 하는 글을 숭고하다고 말하고 또한 이런 숭고미를 강하게 자극하는 글일수록 위대하다고 말하였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미’는 인간 생활 모든 것에서 추구되며, 그러한 의식적인 추구를 통해서 예술과 문학을 발달시킨 것이다. ‘미(美)’는 우리가 여태껏 생각해오던 철학적이고 어려운 저 강건너의 것이 아니라, 인간 본연의 삶 속에서 자연히 함께 하고 추구해오던 것이다. 그리고 산타야나(G. Santayana)는 <미의식(The Sense of Beauty)>이란 글에서 숭고미의 특징으로 정열성과 종교성을 들고 있다 숭고미는 주로 우아미와 대비된다 숭고미는 내면적인 참여를 통하여 부각되므로 위압적이고 엄숙한 속성을 드러내며, 우아미는 외면적인 효과를 환기하므로 경쾌하고 감미로움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