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理論] 다중지능理論과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30 11:12
본문
Download : 다중지능이론과 실제 사례.hwp
다중지능 theory(이론)의 point은 종래의 지능 槪念이 논리력과 언어력 위주의 학업 적성만을 강조해 온 것에 반감을 갖고, 인간 사회에서 가치 있게 여기는 다른 종류의 능력, 즉 공간능력, 음악능력, 신체-운…(drop)
설명
Download : 다중지능이론과 실제 사례.hwp( 45 )
방송통신/기타
Ⅰ. 서 론, , Ⅱ. 다중지능理論의 기본 원리, , Ⅲ. 다중지능理論 의 理論적 근거, , 1. 철학적 기초, , 1) 다중지능理論의 8가지 영역, 2) 프로젝트 학습(Project Learning), 3) 플로우(Flow), 4) 파즈(Pods), , Ⅳ. 다중지능의 종류, , 1. 언어지능, 2. 논리-수학지능, 3. 공간지능, 4. 신체-운동지능, 5. 음악지능, 6. 대인관계 지능, 7. 개인지각지능, , Ⅴ. 아동의 다중지능 평가, , Ⅵ. program의 구성, , 1. 교육목표(目標) , 2. 교육내용, , 1) 시간 구성, 2) 공간구성, 3) 교사의 역할, 4) 평가, , Ⅶ. 다중지능 점검표, , Ⅷ. 교과지도와 생활지도에 적용, , Ⅸ. program의 실제, , 1. 교수학습방법, 2. program 운영의 실제(김치 프로젝트), , 1) 프로젝트를 통한 다중지능理論 적용의 예, 2) 평가의 실례, , Ⅹ. 다중지능 理論의 과제(problem)와 전망, , 결 론, , < 출처 >, filesize : 29K






다. 다중지능 theory(이론)은 지능을 “문제해결 능력 또는 가치 있게 여기는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내는 능력”으로 정의(定義)한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최근의 지능 槪念은 언어력, 논리력 외에 창의성, 사회적 능력, 예술적 능력, 신체-운동 능력, 정서의 이해 및 표현 능력 등을 포함시켜 확장되며, 현실 세계에서의 수행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特性(특성)을 띠고 있다아 이러한 최근 동향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능theory(이론)이 H. Gardner의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theory(이론)이다. 다중지능 theory(이론)은 이름 그대로 일반지능과 같은 단일한 능력이 아니라 다수의 능력이 인간의 지능을 구성하고 있다는 가정과, 그 능력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동일하다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순서
Ⅰ. 서 론, , Ⅱ. 다중지능이론의 기본 원리, , Ⅲ. 다중지능이론 의 이론적 근거, , 1. 철학적 기초, , 1) 다중지능이론의 8가지 영역, 2) 프로젝트 학습(Project Learning), 3) 플로우(Flow), 4) 파즈(Pods), , Ⅳ. 다중지능의 종류, , 1. 언어지능, 2. 논리-수학지능, 3. 공간지능, 4. 신체-운동지능, 5. 음악지능, 6. 대인관계 지능, 7. 개인지각지능, , Ⅴ. 아동의 다중지능 평가, , Ⅵ. 프로그램의 구성, , 1. 교육목표 , 2. 교육내용, , 1) 시간 구성, 2) 공간구성, 3) 교사의 역할, 4) 평가, , Ⅶ. 다중지능 점검표, , Ⅷ. 교과지도와 생활지도에 적용, , Ⅸ. 프로그램의 실제, , 1. 교수학습방법, 2.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김치 프로젝트), , 1) 프로젝트를 통한 다중지능이론 적용의 예, 2) 평가의 실례, , Ⅹ. 다중지능 이론의 과제와 전망, , 결 론, , < 참고문헌 >, FileSize : 29K , [다중이론] 다중지능이론과 실제기타방송통신 , 다중지능이론 다중이론 다중지능이론의실제 다중이론의실제
다중지능이론,다중이론,다중지능이론의실제,다중이론의실제,기타,방송통신
[다중理論] 다중지능理論과 실제
Ⅰ. 서 론
Ⅱ. 다중지능theory(이론)의 기본 원리
Ⅲ. 다중지능theory(이론) 의 theory(이론)적 근거
1. 철학적 기초
1) 다중지능theory(이론)의 8가지 영역
2) 프로젝트 학습(Project Learning)
3) 플로우(Flow)
4) 파즈(Pods)
Ⅳ. 다중지능의 종류
1. 언어지능
2. 논리-수학지능
3. 공간지능
4. 신체-운동지능
5. 음악지능
6. 대인관계 지능
7. 개인지각지능
Ⅴ. 아동의 다중지능 평가
Ⅵ. 호로그램의 구성
1. 교육goal(목표)
2. 교육내용
1) 시간 구성
2) 공간구성
3) 교사의 역할
4) 평가
Ⅶ. 다중지능 점검표
Ⅷ. 교과지도와 생활지도에 적용
Ⅸ. 호로그램의 실제
1. 교수학습방법
2. 호로그램 운영의 실제(김치 프로젝트)
1) 프로젝트를 통한 다중지능theory(이론) 적용의 예
2) 평가의 실례
Ⅹ. 다중지능 theory(이론)의 課題와 展望
결 론
< 서지사항 >
그러나 종래의 IQ점수는 학교의 교과과목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은 예측할 수 있었을지 모르나 未來(미래)의 人生(life)을 예언하지는 못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종래의 지능 槪念이 주로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논리력, 언어력 등의 인지 능력만을 강조하고 학교 밖의 현실세계에서 가치 있게 여겨지는 다른 능력들을 무시한 결과에 기인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