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30 00:15
본문
Download : 수궁가_3217774.hwp
송 만재가 적은 글인 “관우희”에 <수궁가>가 판소리로 불리었고,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고 적혀 있다 2)
Ⅳ. 작품상의 특성(特性)
이 작품에서 용왕을 중심으로 하는 수궁 세계는 정치 지배의 관료층을, 토끼를 중심으로 하는 육지세계는 서민 피지배 계층을 각각 반영한다. 이와 반대로 일시적으로 호강의 유혹에 넘어가 위기에 처했다가 살아나는 토끼에게서 서민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용왕을 기만하고 수궁의 충신 자라를 우롱하면서 최후의 승리를 얻는 작품의 결말은 토끼가 작자층을 대변하는 존재임을 잘 나타내 준다.목차를 참고하시고, 레포트 준비에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설명
순서
레포트/기타
목차를 참고하시고, 보고서 준비에 많은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수궁가
수궁가
수궁가의 줄거리 및 근원과 작품상의 특성을 자세히 분석한 리포트 입니다.수궁가 , 수궁가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수궁가_3217774.hwp( 92 )
수궁가의 줄거리 및 근원과 작품상의 特性(특성)을 자세히 분석한 리포트 입니다. 주색에 빠져 병이 들어 어리석게도 토끼에게 속아 넘어가는 용왕과 어전에서 싸움만 하고 있는 수궁대신들은 당시 부패하고 무능한 정치 사회의 인물들을 투영한 것이다.
<중모리>
`말을 허라니 허오리다,말을 허라니 허오리다 태산이 붕퇴(崩頹)허여 오성이 음음헌디 실갈성(時日曷喪) 노래소리 탐학(貪虐)한 상주임군 성현의 뱃속에 칠궁기가 있다기로 비간(脾肝)으 배를 갈러 무고이 죽였으나 일곱궁기 없었으니 소퇴도 배를 갈러 간이 들었으면 좋으려니와 만일에 간이 없고 보면은 불쌍한 퇴명만 끊사오니 뉘를 보고 달라허며 어찌 다시 구허리까 당장으 배를 따서 보옵소서`
용왕이 듣고 진노허여
`이놈! 니말이 모두다 당치 않은 말이로구나 의서에 이르기를 비수병즉구불능식(脾受病則口不能食)허고 담수병죽설불능언(膽受病則舌不能言) 허고 신수병즉이불능청(腎受病則耳不能聽)허고 …(省略)
다.
Ⅰ. 줄거리
Ⅱ. 작품의 설명(explanation)
Ⅲ. 수궁가의 근원
Ⅳ. 작품상의 특성(特性)
1. 중모리
2. 단중모리
3. 아니리
4. 중모리
5. 중모리
6. 아니리
7. 자진모리
8. 자진중모리
<수궁가>의 이야기는, 거슬러 올라가면, 인도의 옛 불교 경전에 나오는 ‘원숭이와 악어’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인데, 중국(中國)의 옛 불교 경전에도 나오며 우리나라 <삼국사기>에도 보이는 ‘자라와 잔나비’ 이야기를 거쳐서, 조선 왕조 때에 와서는 ‘자라와 토끼’ 이야기로 바뀌어 판소리로 짜인 것이라고 한다. 즉, 이 작품은 원래 허욕에 대한 경계를 주제로 삼고 있으나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풍자, 인간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이 밑바닥에 깔려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