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15:46
본문
Download :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hwp
다른 지방의 줄다리기와 비교를 하면서 쓴 리포트 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를 하고 쓴 리포트 입니다.
「줄다리기」는 그 놀이 기구인 줄의 형태에 따라 「외줄 다리기」, 「쌍줄 다리기」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가 있다아
전자는 줄 하나를 가지고 그 중심부를 경계로 하여 양편으로 갈라 잡아당기는 줄다리기를 말하고 후자는 줄에 따라 「암줄」, 「숫줄」이란 두 줄이 있어서 이 두 줄의 머리 즉 「숫줄」을 「암줄」의 머리에다 집어넣어 비녀 목(혹은 지릿대)으로 연결하고 잡아당기는 「줄다리기」를 말한다.
설명
전남의민속놀이에관한조사연구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
다.
이 두 유형의 줄다리기를 비교해 볼 때 「쌍줄 다…(dro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hwp( 60 )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를 하고 쓴 리포트 입니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학술적인 용어의 통일을 기하기 위해서는 「줄다리기」라는 이름을 씀이 좋을 것 같고 이 일반적인 「줄다리기」에서 파생하여 독자적인 놀이 형태를 갖고 있는 것, 즉 장흥의 「보름 줄다리기」. 1) 임동권저, 한국세시풍속, p.83. 2) 전라남도간, 제1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출전 해설서. 같은 것은 그 특이성을 인정해 주는 뜻에서 그대로 씀이 타당한 방법이 아닐까 여겨진다.
그래서 본 고에서는 「줄다리기」라 쓰고 그 놀이 형태가 특이한 「보름 줄다리기」 만은 그대로 이름하여 부르기로 하겠다. 전남의민속놀이에관한조사연구 , 전남의 민속놀이에 관한 조사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일, 서 언
이. 보름 줄다리기
1) 「줄다리기」라는 명칭
2) 「줄다리기」의 두 유형
3) 보름 줄다리기의 명칭
4) 놀잇군의 지역적 구성
5) 줄을 만드는 과정
(1) 줄 만들기
(2) 줄의 크기
6) 「보름 줄다리기」의 놀이 형태
7) 「보름 줄다리기」에 나타난 제문제
삼. 고싸움 놀이
1) 「고싸움」놀이의 명칭
2) 「고싸움」놀이의 연원
3) 「고」를 만드는 과정
(1) 줄 드리기
(2) 줄 도시기
(3) 「곳 대가리」만들기
(4) 고 몸체 만들기
(5) 꼬리줄 만들기
(6) 「곳 대가리」세우기
(7) 「가랫장」달기
(8) 「고」의 코기
사. 「고싸움」 놀이의 형태
오. 결 어
여러 문헌들을 들추어 줄다리기 이름을 살펴 본 결과 일반적인 순 우리말로는 「줄다리기」. 文化(문화)재관리국간 「한국의 풍속상」 p.161.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불리어지고 있는 것 같고 한자로는 「색전」이라 쓰고 사투리로는 「줄당기기」, 「줄땡기기」, 「줄댕기기」, 「줄쌈」이란 이름들이 쓰여지고 있음을 본다. 다른 지방의 줄다리기와 비교를 하면서 쓴 리포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