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19:54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hwp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09_new/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
순서
공자가 “함께 배울 수는 있지만 함께 도에 나아갈 수 없고, 함께 도에 나아갈 수는 있지만 함께 설 수 없으며, 함께 설 수는 있지만 함께 권도를 행할 수 없다. 보편 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회는 무엇을 선으로 볼 것인지, 무엇이 정의인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매우 힘들 것이다. 이것이 바로 ‘권’이다. 따라서 『논어』의 권도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보고서 - 원칙과 융통성
원칙은 중요하다. 권은 저울추를 의미하는데, 따라서 권이란 움직임 가운데에 어떤 물건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균형을 잡도록 하는 것이며, 이 권은 變化(변화)하는 현실 사회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인 균형을 찾는 역할을 한다. 원칙과 융통성의 조율. 이것은 어느 사회에서나 참 선을 이룩하기 위한 덕목일 것이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학 국제학술대회-china文化(culture) 번혁기의 재조명』 집, 한국china학회, 2010년 8월 19일~20일, p95
이후의 유학자들은 이러한 공자와 맹자의 권도관을 계승하며 각자의 관점을 정립해나갔는데, 한대와 위진남북조 시대의 학자들의 관점과 송대 주희의 관점, 명말청초의 왕부지의 관점에서 권도를 바라보는 관점이 제각기 다르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학 국제학술대회-china文化(culture) 번혁기의 재조명』 집, 한국china학회, 2010년 8월 19일~20일, p95,97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2. 유학에 있어서의 경과 권도
Download :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hwp( 35 )
.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설명
다. 경은 날실, 혹은 조리를 뜻하는데, 날실은 옷을 짤 때 세로줄 실을 의미하며 베를 짤 때 세로줄을 먼저 걸어놓고 씨실을 짜므로 일의 기본이 됨을 의미하며, 조리는 사람의 상식으로 판단 가능한 본질적 원칙을 말한다. 이 보편법칙, 혹은 원칙이 바로 우리가 바로 ‘경’이다.”라고 지적했다는 점에서 유학에서의 권도의 유학에서의 의미와 현실 상황에서의 권도의 적용에 대한 본보기를 보여주며, 그들이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합당한 조율, 즉 권도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었는지 알 수 있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학 국제학술대회-china文化(culture) 번혁기의 재조명』 집, 한국china학회, 2010년 8월 19일~20일, p95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레포트(report) - 원칙과 융통성
하지만 복잡한 인간사에서 단순히 보편 법칙만을 진리로 여기고 그 외의 모든 것을 배척하여 고집한다면 그것은 합리적인 태도라고 할 수 없다. 원칙과 융통성의 조율에 따른 합리성은 “역동적이면서도 다양하게 펼쳐지는 구체적인 현실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하나의 불변적 원리만을 고집하는 완고한 태도나, 變化(변화)만을 중시한 나머지 그 變化(변화) 과정 속에 내재한 공통의 규율을 간과하는 현상주의적 태도 등을 합리적인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초기 유학자들 역시 경과 권도의 조율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경과 권도의 유기적인 어울림을 통해 끊임없이 발생하는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여 건강한 사회를 조성하고자 했다. 그렇기 때문에 융통성이 필요하다. 그 조율에 실패하였을 때, 최근의 ‘해운대 화재’의 경우처럼 고의와 과실이 없는 힘없는 環境미화원들에게 죄를 묻게 되고, 비합리적 처사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고 지적했다는 점과, 맹자가 “남자와 여자가 직접 주고받지 않는 것은 예의이고, 형수가 물에 빠지거든 손으로 구해주는 것은 권도이다. 구체적 상황을 합당하게 조율하는 태도를 통해 지혜로운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