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6 03:18
본문
Download : 윤리의 문제.hwp
윤리의문제
설명
Download : 윤리의 문제.hwp( 40 )
순서
윤리의 문제






윤리의 문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윤리학에서는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라고 묻지 않고, 인간은 도덕적으로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라고 묻는다.
1 도덕의 기초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물음, 다른 형식으로는 ‘도덕적으로 선한 것이란 어떠한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省略)
윤리의 문제윤리의문제 , 윤리의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 곳에서는 ‘윤리규범’을 적극적으로 규명하려고 하는 전통적인 윤리사상을 정리(整理) 하기로 하고, 이어서 현대철학에서의 메타 윤리학의 입장을 간략히 설명(說明)하기로 한다. 우리들은 ‘일상적’인 의미에서 선과 악을 가려내면서 살아가고 있따 그런데 선과 악에 대한 우리들의 일상적인 생각이 과연 ‘도덕적’일 수 있을까? 이를테면 우리들이 단지 한국적으로 양육되어왔기 때문에 우리의 생활이 더 좋다고 말하는 것은 아닐까? 도대체 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을 구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그것을 ‘양심’이라고들 말하는데, 과연 양심이 신뢰할만한 심판관일 수 있을까? 우리가 지켜야할 윤리규범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들은 무엇이며 절대적인 것인가, 상대적인 것인가? 우리들에게는 관습이라든지 풍습이라든지 하는 전래적인 행위규범들이 있는데, 이것들이 과연 선이고 정의(定義)인가? 이런 것들이 윤리학이 풀어야 할 수수께끼들이다.
요컨대 윤리학에서는 우리의 행위,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행위의 요건에 대해 묻고자 한다. 단 한 번뿐인 삶이라는 것을 배려한다면, 우리의 윤리적인 규범을 탄탄한 기초 위에 세워야 마땅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theory(이론)적’인 작업이 ‘현실적’인 실천에 필수적으로 앞서야 함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윤리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관념들은 ‘선’과 ‘악’, ‘정의(定義)’와 ‘불의’와 같은 것들이다. 그러면서도 현대의 철학에서는 우리들이 과연 도덕적인 것에 대해 묻고 대답할 수 있는 것인지, 나아가서는 과연 윤리학이 학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것인지를 문제삼고 있따 이것이 이른바 ‘메타 윤리학’이라고 불리는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 자체를 포기하고 있다고 미리 예단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