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7 10:25
본문
Download :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hwp






레포트/공학기술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
다.일조권에관한법적고찰 ,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Download :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hwp( 38 )
Ⅰ. 서
1. 정이
2. 사회학적 고찰
Ⅱ. 헌법적 고찰
1. 環境(환경)권의 일종으로서의 일조권
2. 재산권의 일종으로서의 일조권
3. 헌법상의 일조권 침해 시에 구제 방법
Ⅲ. 행정법적 고찰
1. 건축법상의 일조권 관련 조항
2. 건축법상의 일조권의 내용
3. 건축법상의 일조권 침해 시 구제 방법
Ⅳ. 민법적 고찰
1. 민법상의 일조권 관련 조항
2. 민법상의 일조권의 내용
(1) 일조 방해 행위가 사법상 위법한 가해 행위로 평가되기 위한 요건
(2) 일조 방해에 대한 공법적 규제의 사법적 의미 및 신축 건물이 건축 당시의 공법적
규제에 형식적으로 적합하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인 일조 방해의 정도가 현저하게 커
사회 통념상 수인한도를 넘는 경우, 위법 행위로 평가되는지 여부
(3) 일조 방해 행위가 사회 통념상 수인한도를 넘었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 기준
(4) 일조 방해 행위가 사회 통념상 수인한도를 넘는 경우, 소유권에 기하여 건물의 건
(4) 축 금지 등 방해 제거 및 예방을 위한 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 및 그 요건
(5) 아파트의 수분양자가 분양 회사를 상대로 일조 방해를 요인으로 한 불법 행위 책임
을 물을 수 있는 지 여부
(6) 일조 장애, 사생활 침해, 시야 차단으로 인한 압박감, 소음, 분진, 진동 등과 같은
생활 이익의 침해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 상 손해 항목 중 토지 · 가옥의 가격 저하
에 의한 손해의 산정 방법
3. 민법상의 일조권 침해 시 구제 방법
Ⅵ. 참고 문헌
3. 헌법상의 일조권 침해 시에 구제 방법
일조권 침해에 대하여 헌법 제35조의 環境(환경)권, 제23조의 재산권 또는 제10조의 행복추구권, 제37조 제1항의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않을 권리임을 이유로 헌법소원이 제기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다만 이 경우 대국가적 효력의 인정 여부는 문제가 없다고 할 것이나 대사인적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따
環境(환경)권은 명문의 법률규정이나 관계 법령의 규정 취지 및 조리에 비추어 권리의 주체, 대상, 내용, 행사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될 수 있어야만 인정되는 것이므로, 사법상의 권리로서의 環境(환경)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는데도 環境(환경)권에 기하여 직접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Ⅲ. 행정법적 고찰
1. 건축법상의 일조권 관련 조항
건축법 제53조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① 전용 주거 …(drop)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일조권에관한법적고찰
일조권에 관한 법적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