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15 18:16
본문
Download :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hwp
⑤ 청각장애 아동은 종종 두 가지 중요한 이유로 언어적 도식 형성이 어렵다.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청력손실의 정도, 청력손실의 시기, 그리고 다른 장애의 유무이다.
② 출생 후 1년의 후반기 6개월 동안 유아는 의도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처음 한다. 유아기 초기의 이러한 행동은 비언어적 행동을 표상하고, 후기의 단어 혹은 기호의 사용은 언어적 행동을 표상한다.
③ 청각장애 아동은 6~36개월 동안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이 증가한다. 청각장애 아동은 단어 혹은 기호를 습득하기 처음 할 때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감소되거나 고정된다
④ 청각장애 유아들은 의사소통에 필요한 음성적, 비음성적 행동을 학습하는데 일반적 발달 유형을 따른다.
…(생략(省略))
순서
Download :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hwp( 46 )
레포트/인문사회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
언어와 언어습득의 요인을 살펴보고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발달 特性 및 언어능력 평가, 청각장애아동의 발성·발화 特性과 언어와 말하기 지도 방법에 대해서 요약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언어와 언어습득의 요인을 살펴보고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발달 특성 및 언어능력 평가, 청각장애아동의 발성·발화 특성과 언어와 말하기 지도 방법에 대해서 요약 정리했습니다.
②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습득은 개인차가 크다.
3.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발달
① 출생 후 초기 3~4개월 동안 유아는 몸짓을 하고, 움직이고 울고, 양육자가 의사소통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발성을 한다.
다. 그러므로 청각장애 유아들은 대부분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비언어적, 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사용하는 의미적 기능들은 제한적이다. 그러나 언어능력이 단지 청력손실 정도 에만 기초하는 것은 아니다. (청각장애 아동 중 교육적으로 중요한 부가적 장애를 가진 자는 약 30%)
③ 일반적으로 청력손실 정도가 클수록 언어지체도 더 크다. 첫째는 그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부모나 형제·자매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둘째는 우연 학습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④ 가족 간의 의사소통과 중재 프로그램(program]) 의 차이도 언어장애 정도를 다르게 하는 요인이다. 그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몸짓과 발성을 한다. ,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언어와 의사소통
2.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발달
4. 언어 능력의 평가
1)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2) Luetke-Stahlman과 Luckuer 의 언어기술 평가시 고려해야할 사항.
3)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
5. 청각장애아동의 발성·발화 property(특성)
1) 청각장애 아동의 초기발성
2) 경도 및 중등도 청각장애 아동의 발성 특징
3) 중도 및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발성 특징
6. 의사소통 기술 습득
7. 언어와 말하기 지도 방법
1) 발성·발화 및 말하기 지도 방법
2) 경도 및 중등도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
3) 중도 및 최중도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말하기 지도
★ 용 어 정 리 ★
① 청각장애 아동은 청력손실로 인해 언어의 형태(음운론, 구문론, 형태론), 내용(의미론), 사용(화용론)에 관한 정보의 습득을 어렵게 한다. 부모의 신호기술이 아동의 언어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부모가 사용하는 신호의 구문적, 의미적, 화용적 특징 등도 아동의 언어학습에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