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본 국어교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4 10:30
본문
Download : 7차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본 국어교과.hwp
7차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본 국어교과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 목 차 >
1. 국어과 교육의 목표(goal) 1
2. 국어과 교육의 성격 1
3. 국어과 교육의 변천과정 2
(1) 국어교육사의 출발점 2
(2) 국어교육사의 시기구분 2
(3) 광복이전의 국어교육 2
(4) 광복이후의 국어교육 3
4. 국어과의 영역5 5
(1) 국어과 교육의 영역구분 이유 5
(2) 국어과 영역구분방법 5
(3) 국어과 영역구분 기준 5
(4) 시간에 따른 국어과 영역변화모습 6
(5) 국어과 영역별 내용 6
5. 국어과 내용체계 12
(1) 내용체계 구성의 기본관점 12
(2) 국어교육의 내용범주화 13
(3) 국어교육의 내용체계 구조화 관점 14
6. 국어과 평가 목표(goal)와 방법 13
(1) 평가목표(goal) 13
(2) 평가방법 14
7. 問題點 및 대안 15
8. 참고한 문헌 15
2) 국어지식교육의 목표(goal)
- 국어과 교육의 주요 영역을 언어기능, 언어예술(문학), 언어지식으로 구분해 볼 때, 국어지식교육은 전통적으로 언어 또는 문법으로 불려왔다.
,사범교육,레포트
교과교육론종합11






제 7차교육과정이 국어교과 교육의 goal(목표) 와 성격 내용체계 등에 관해 알아본 자료(data)입니다.교과교육론종합11 , 7차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본 국어교과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7차교육과정 해설서에서 본 국어교과.hwp( 64 )
순서
다. 민현식(1999:275-283)
하지만 국어지식교육은 문법교육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점에서 국어지식교육의 목표(goal)는 국어과 교과 목표(goal)에 포괄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본다. 그런데 이들 영역이 실제 교과목으로 부여되는 양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과정별로 달리 나타난다. 그 가운데 국어지식교육과 관련된 국어 및 문법은 전통적으로 국어지식교육이라는 관점보다는 문법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설정된 교과목이다. 예를 들어 5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는 세 영역을 통합한 단일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고 고등학교에서는 세 영역을 통합 배분한 국어와 과정별 선택과목인 문학, 문법에서 6차교육과政府터 독서와 화법이 첨가됐다. 즉 국어지식교육은 국어사용능력 신장을 위한 바탕이 되며 다양한 유형의 국어 資料를 비판적으로…(To be continued )
제 7차교육과정의 국어교과 교육의 목표와 성격 내용체계 등에 관해 알아본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