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3 21:35
본문
Download :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hwp
대체…(투비컨티뉴드 )
다. 학습부진의 현상은 지능정도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나타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지능이 낮아야 한다는 조건은 없다.
나. 학습지진아(slow learner)
선천적 지적 능력의 결핍 때문에 학습진보가 떨어지는 아동이다. 먼저, 학습장애 아동의 일반적인 characteristic(특성)을 살펴본 후, 이들을 위한 효능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지적잠재능력이 높으면서도 공부를 못하는 아동을 아동까지 포함하는 넓은 concept(개념)이라기 보다 지적능력에 어느정도 제한성이 있는 아동에 국한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대체로 지적교과에 한정되는 것이며 창의성을 요하는 예능 및 실기 교과의 성취와는 큰 관계가 없다. 교육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학습장애 아동은 정상적인 지도와 학습 여건에도 불구하고 특definition 심한 학습 문제를 나타내는 아동으로서, 이러한 학업 성취 결손을 교정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적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아동이다. ,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사범교육레포트 ,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hwp( 47 )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부진의 정도는 주로 정신연령과 학습연령간의 차이로서 평가된다 즉, 학력성취수준〓학습연령/정신연령×100 이라는 formula(공식)으로 학력성취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오늘날의 치료적, 교정적 활동이란 학력성취수준이 80이하인 아동에게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가능성(잠재능력)의 수준에 상응한 학력을 성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한 지도가 주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장애아동을_위한_효율적인_지도방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학습부진아, 학습지진아, 학습장애아‘의 용어 definition
가. 학습부진아(underachiever)
학습부진아는 학업성취수준이 잠재능력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뒤떨어지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순서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효율적 지도 방법
1963년 Samuel Kirk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던 학습장애라는 용어가 우리 나라에서 법정 용어로 사용된 것은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이 개정되고 학습장애가 특수교육 대상 장애로 규정되면서부터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