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발달theory ] 피아제와 콜버그의 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4 11:53
본문
Download :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이론.hwp
도덕성발달을 설명(explanation)하는 theory(이론)들로서 Piaget와 Kohlberg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아
I. Piaget의 theory(이론)
Piaget는 도덕발달은 예측할 수 있는 단계로 진행함을 제안하였다. 원인(原因)보다는 결과에 관심을 갖는 어린 아동들은 비록 결과로 생긴 상해는 우연적일지라도 두 번째 아동이 첫 번째 아동보다 훨씬 죄가 크며, 더 심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함을 Piaget는 발견하였다. 이는 결과가 나쁘면 나쁠수록 죄는 더 나쁘다는 단순한 생각이다.
1. 타율의 도덕성 : 첫 단계
도덕발달의 첫 단계를 Piaget는 타율의 도덕성, 도덕적 현실성(moral realism) 또는 제약의 도덕성(morality of constraint)이라 불렀다. 형식적 조작을 할 수 있는 10세 또는 12세 경에는 모든 아동은 동일한 규칙에 따라 놀이를 하지만, 규칙은 놀이의 방향을…(투비컨티뉴드 )
[도덕성 발달theory ] 피아제와 콜버그의 theory
설명
[도덕성 발달theory ] 피아제와 콜버그의 theory
레포트/사범교육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이론 ,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이론사범교육레포트 ,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 이론
도덕성,발달이론,피아제와,콜버그,이론,사범교육,레포트
순서
다. 이 단계는 타율적 도덕성(heteronomous morality) 발달과 자율적 도덕성 발달의 두 단계로 구분하였다.
![[도덕성%20발달이론]%20피아제와%20콜버그의%20이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EC%9D%B4%EB%A1%A0%5D%20%ED%94%BC%EC%95%84%EC%A0%9C%EC%99%80%20%EC%BD%9C%EB%B2%84%EA%B7%B8%EC%9D%98%20%EC%9D%B4%EB%A1%A0_hwp_01.gif)
![[도덕성%20발달이론]%20피아제와%20콜버그의%20이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EC%9D%B4%EB%A1%A0%5D%20%ED%94%BC%EC%95%84%EC%A0%9C%EC%99%80%20%EC%BD%9C%EB%B2%84%EA%B7%B8%EC%9D%98%20%EC%9D%B4%EB%A1%A0_hwp_02.gif)
![[도덕성%20발달이론]%20피아제와%20콜버그의%20이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EC%9D%B4%EB%A1%A0%5D%20%ED%94%BC%EC%95%84%EC%A0%9C%EC%99%80%20%EC%BD%9C%EB%B2%84%EA%B7%B8%EC%9D%98%20%EC%9D%B4%EB%A1%A0_hwp_03.gif)
![[도덕성%20발달이론]%20피아제와%20콜버그의%20이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4%EB%8D%95%EC%84%B1%20%EB%B0%9C%EB%8B%AC%EC%9D%B4%EB%A1%A0%5D%20%ED%94%BC%EC%95%84%EC%A0%9C%EC%99%80%20%EC%BD%9C%EB%B2%84%EA%B7%B8%EC%9D%98%20%EC%9D%B4%EB%A1%A0_hwp_04.gif)
Download :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이론.hwp( 37 )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theory(이론)
목차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I. Piaget의 theory(이론)
1. 타율의 도덕성 : 첫 단계
2. 자율의 도덕성 : 둘째 단계
II. Kohlberg의 도덕성 theory(이론)
1. 전관습의 단계
2. 관습의 단계
3. 자율적 단계
출처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도덕성발달은 주로 세 가지 다른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아 첫째,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평가인 도덕적 판단, 둘째, 어떤 행동이 옳은지 알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느냐 하는 도덕적 행동, 셋째, 사고나 행동에 대한 정서적 반응(죄책감 등)인 도덕적 감정이 그것이다. 상해의 정도가 유일한 측정(測定) 표준이다. 이 단계는 타율적 도덕성(heteronomous ...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theory(이론)
목차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I. Piaget의 theory(이론)
1. 타율의 도덕성 : 첫 단계
2. 자율의 도덕성 : 둘째 단계
II. Kohlberg의 도덕성 theory(이론)
1. 전관습의 단계
2. 관습의 단계
3. 자율적 단계
출처
도덕성 발달theory(이론)
도덕성발달은 주로 세 가지 다른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아 첫째,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평가인 도덕적 판단, 둘째, 어떤 행동이 옳은지 알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느냐 하는 도덕적 행동, 셋째, 사고나 행동에 대한 정서적 반응(죄책감 등)인 도덕적 감정이 그것이다. 도덕성발달을 설명(explanation)하는 theory(이론)들로서 Piaget와 Kohlberg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아
I. Piaget의 theory(이론)
Piaget는 도덕발달은 예측할 수 있는 단계로 진행함을 제안하였다.
2. 자율의 도덕성(autonomous morality) : 둘째 단계
둘째 단계는 자율의 도덕성 또는 협력의 도덕성(morality of cooperation)이라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