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의 성격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13:18
본문
Download : 융의 성격이론.hwp
2. 페르소나
페르소나(persona)는 자아의 가면으로 개인이 외부세계에 내보이는 이미지이다. 그러나 성격의 보다 깊은 부분은 도외시한 채 페르소나를 발달시키면, 겉으로 드러난 표면적인 모습 밑에 본질적인 것은 없게 된다된다. 그의 주요한 체계로는 자아, 개인적 무의식 및 집단무의식이 있으며, 그 외에도 페르소나, 음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자기, 내향성과 외향성 등이 있다아
1. 자아
자아(ego)는 지각, 사고, 감정 및 기억과 관련된 정신의 일부분인 의식적인 마음이다. 페르소나는 사회에 適應하거나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이것은 우리 자신에 대한 의식뿐만 아니라 외부세계에 대한 우리들의 자각도 포함한다.
융,성격이론,기타,레포트
융의 성격理論
목차
융의 성격理論
1. 자아
2. 페르소나
3. 음영
4. 아니마와 아니무스
5. 개인적 무의식
6. 집단무의식
7. 자기
8. 외향성과 내향성
참고한 문헌
융의 성격理論
융(Jung)은 무의식의 본질에 주된 관심을 두기는 하였지만, 성격기능의 다양한 체계를 포괄하는 성격理論을 발달시켰다. 이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의 세계를 지각하는 방법에서의 안정성이라 할 수 있는 연속성, 일관성 및 정체성을 제공한다.
…(To be continued )
Download : 융의 성격이론.hwp( 13 )
레포트/기타






융의 성격theory
설명
융의 성격이론 , 융의 성격이론기타레포트 , 융 성격이론
융의 성격theory
순서
다. 즉, 개인이 학교나 직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나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많은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면, 한 남자가 사업가로서 동료들에게 주는 이미지와 아버지로서 자식에게 주는 이미지는 다를 수 있다아 페르소나는 성격이 안정되어 있을수록 발달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성격의 다른 부분이 도외시되지는 않는다. 즉, 이것은 개인이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반응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내보이는 공적인 모습 또는 역할인 것이다. 자아는 우리 스스로의 지각이며, 의식세계의 정상적인 활동을 이행하는 책임과 관련되어 있다아 자아는 우리에게 노출된 자극의 일부를 의식적인 지각으로 받아들이는 선택적인 방법으로 행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