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사상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6 10:30
본문
Download : 선비사상에 대한 고찰.hwp
, 선비사상에 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다.
다섯째는 淸廉勤儉性이다.
넷째는 居敬崇文禮性이다.
순서
설명
1. 서론 - “선비사상”은 왜 필요한가?
2. 본론1. - “선비사상”의 참된 의미
3. 본론2. - “선비사상”에 얻을 수 있는 교훈
4. conclusion - ‘선비사상’은 繼承되어야 한다
셋째는 先公崇文性이다. 조선조사회에서 선비가 되는 것은 개인의 귀족적 지위나 신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학문과 도덕성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다. 나 개인보다도 나라나 민족이 더 소중했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선비…(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선비사상에 대한 고찰
한국사를 제대로 배운 사람이라면 “선비”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여기서 한국사에 있어 왕과 “선비”로 불리는 이들 집단이 그간 주도적으로 역사를 이끌어 온 계층임을 짚어본다면 선비들이 지닌 사상, 즉 “선비사상”에 대해 진지하게 탐색해 보고 이에 관해 현 사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이를테면 거듭된 거란의 침공으로 인해서 관학이 떨치지 못하는 교육적 공백기가 생기자 九齊를 마련하여 젊은이들의 교학에 힘쓴 十二徒의 선구자인 崔仲의 경우라든지, 지성인답게 처신한 成三問, 또는 문필을 통하여 공정성을 밝히려고 한 許筠, 柳聲遠, 朴趾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실학파를 대표하는 星皓 李潢이나 茶山 丁若鏞 등의 경우는 그 생활 또한 청렴하였고 근검에 힘썼다. 그들은 조선조의 政治體系를 운영해 온 엘리트집단이었다. 이를테면 유독 ‘敬의 사상’으로써 대표되는 退溪 李滉의 경우가 그것이다. 이를테면 고려의 충신인 圃隱 鄭夢周와 같이 끝끝내 고려조를 위하여 지조와 신의를 굽히지 않은 史實을 가리켜하는 말인 것이다.
원래 조선조에 있어서 선비들이란 과거제를 중심으로 형성된 유자의 집단이었다.
여섯째는 志操信義性이다. 여기서 한국사에 있어 왕과 “선비”로 불리는 이들 집단이 그간 주도적으로 역싸를 이끌어 온 계층임을 짚어본다면 선비들이 지닌 사상, 즉 “선비사상”에 대해 진지하게 탐색해 보고 이에 관해 현 사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과연 “선비사상”의 진정한 의미와 그것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알아보고 우리가 본받을만한 사항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이상으로 “선비사상”을 선비의 인간적 특성(特性)과의 관계에서 모두 여섯 가지로 정리(arrangement)해 보았다. 즉 백성을 다스리는 치자였으며 백성을 敎化하는 교사였다.
Download : 선비사상에 대한 고찰.hwp( 88 )
한국사를 제대로 배운 사람이라면 “선비”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연 “선비사상”의 진정한 의미와 그것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알아보고 우리가 본받을만한 사항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그러나 막연히 조선시대의 상부계층 정도로 인식하고 이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을 해 본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다가 점차 그 의미가 확대되어, 학문이 깊고 언행이 신중하면 선비로 인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公을 私보다 앞세웠는데 이것이 바로 先公後私의 倫理인 것이다.
3. 본론2. - “선비사상”에 얻을 수 있는 교훈
선비에 대해 부연을 조금 더 해보자면, 선비란 조선조시대에 형성된 지식인 집단으로서, 단순한 지식인이 아닌 학문적으로 知性을 갖추고 도덕적으로 人格을 갖춘 지식인들로서 조선조라는 政治共同體를 이끌어간 역사(歷史)의 주역들이었다. 그런가하면 제아무리 권문세가의 자제일지라도 학문과 덕행을 쌓지 않으면 선비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래서 양인은 물론이고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던 서출에게서도 선비가 나왔다. 그러나 막연히 조선시대의 상부계층 정도로 인식하고 이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을 해 본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