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4 07:31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hwp
기의 운동은 리의 명령을 받아서 하는 것이어서 결국 기는 리가 운동하는 손발에 지나지 않으므로 기를 리에 대비시켜 거론할 수조차
순서
Download :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hwp( 42 )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다. 하지만 반침략 반외세라는 特性은 후기 민중의 계급적인 이해와 정서에 연결되어 대중적인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볼 수도 있따1)한국 철학사상 연구회『강좌 한국철학』 p.222 예문서원 2005.09.15
.
설명
척사위정과 의병 운동은 한결같이 리(理) 중심적 사상의 경향을 나타낸다. 리기론의 일반에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이황 이후 영남학파(주리)는 물론이거니와 이이 이후 기호 학파(주기)에서도 리를 기보다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따한국 철학사상 연구회『강좌 한국철학』 p.225
.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리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영남학파의 학통 의식을 바탕으로 이진성은 리를 본(本)과 주(主)로, 기를 말(末)과 객(客)으로 파악하였다. 기호학파의 이항로 및 김평묵과 유중교도 리 중심적 철학을 전개하고 있따 그들도 역시 리와 기를 주(主)와 객(客), 존(尊) 비(卑), 명령하는 자와 명령받는 자 등으로 대비하고 있따 더 나아가 기호학파에 속하는 기정진은 기호 학파의 ‘주기’론적 경향에서 벗어나 리 중심적 경향을 띨 뿐만 아니라, 마침내 리기일체관(理氣一體觀)을 바탕으로 하는 유리론(唯理論)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척사위정 운동과 리 중심적 사상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은 사상적 기반을 해명하는 주요 해결해야할문제가 아닐 수 없다. 먼저 ‘주리’와 주기의 논의의 point은 이황처럼 리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하여 리에 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에 대한 리의 주재성을 인정하느냐 아니면 ‘기발일도(氣發一途)’를 주장하여 리의 운동성을 부정함으로써 리에 대한 기의 상대적 독립성을 인정하느냐 하는 문제였다. 이는 ‘기의 운동성’은 ‘리의 운동성’으로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 굳이 기발(氣發)을 말할 필요가 없으며, 실제 내용으로 볼 때 그것은 리발일도설(理發一途說)이라고 말할 수 있는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척사위정 운동을 바로 자각적인 근대 민족주의 운동으로 보기는 힘들다.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레포트 - 척사위정, 개화, 민족종교와 민중운동 사상
척사위정 운동은 반침략 반외세의 特性이 두드러진 재야 유생들의 상소 운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따 그러나 세계사의 전개에 대한 인식의 한계와 계급적인 한계로 말미암아 이들은 근대 민족 국가의 展望을 갖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