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感想文] 아메리칸뷰티를 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5 01:09본문
Download : [영화감상문] 아메리칸뷰티를 보고.hwp
그러던 어느날 레스터는 아내의 손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제인의 치어리더 공연을 보러 농구장을 찾는다. 레스터의 집에서는 항상 장미꽃을 볼 수 있다아 식탁이나 거실의 테이블 등에는 항상 장미꽃이 꽂혀 있다아 또 레스터가 안젤라를 상상하는 장면에서는 항상 장미꽃잎이 보여진다.[영화 感想文] 아메리칸뷰티를 보고
영화에서의 상징물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영화감상문] 아메리칸뷰티를 보고-1281_05_.gif](/prev/200905/%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C%95%84%EB%A9%94%EB%A6%AC%EC%B9%B8%EB%B7%B0%ED%8B%B0%EB%A5%BC%20%EB%B3%B4%EA%B3%A0-1281_01_.gif../prev/200905/%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C%95%84%EB%A9%94%EB%A6%AC%EC%B9%B8%EB%B7%B0%ED%8B%B0%EB%A5%BC%20%EB%B3%B4%EA%B3%A0-1281_02_.gif../prev/200905/%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C%95%84%EB%A9%94%EB%A6%AC%EC%B9%B8%EB%B7%B0%ED%8B%B0%EB%A5%BC%20%EB%B3%B4%EA%B3%A0-1281_03_.gif../prev/200905/%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C%95%84%EB%A9%94%EB%A6%AC%EC%B9%B8%EB%B7%B0%ED%8B%B0%EB%A5%BC%20%EB%B3%B4%EA%B3%A0-1281_04_.gif../prev/200905/%5B%EC%98%81%ED%99%94%EA%B0%90%EC%83%81%EB%AC%B8%5D%20%EC%95%84%EB%A9%94%EB%A6%AC%EC%B9%B8%EB%B7%B0%ED%8B%B0%EB%A5%BC%20%EB%B3%B4%EA%B3%A0-1281_05_.gif)
설명
아름다움을 느끼는 순간... 가슴이 벅찰 때가 있다!잘 정돈된 정원과 집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는 평온한 교외 마을. 여기 평범한 회사원 레스터 버냄과 그의 아내 캐롤린, 그리고 딸 제인이 살고 있다아 하루의 가장 짜릿한 순간이 고작 아침 샤워 중의 마스터베이션인 레스터는 걸어다니는 시체처럼 무력한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는 그저 그런 보통사람이다. 가족끼리의 의례적인 행사라고 생각하고 아무 생각 없이 간 그곳에서 레스터는 딸의 친구인 안젤라에게 한눈에 반해버린다. 또 레스터의 상상 속에서 보여지는 새빨간 장미꽃은 그의 안젤라에 대한 성적욕구를 상징한다.
순서
Download : [영화감상문] 아메리칸뷰티를 보고.hwp( 22 )
1. 붉은 장미꽃
아메리칸뷰티
American Beauty를 보고
American Beauty를 보고
이 영화에서는 유난히 새빨간 장미꽃이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레스터가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발견하면 할수록 아내와 딸과의 관계는 점점 더 악화되어 간다. 영화 결말에는 식탁 위의 장미꽃이 레스터가 총에 맞아 벽에 튄 피로 연결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데 이것은 제어되지 않은 본능의 위험성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
American Beauty를 보고
다. 지금까지 잊고 지내던 삶의 열정이 되살아나면서 그는 사춘기 감성으로 돌아간다. 붉은 장미꽃의 이미지는 성적본능을 상징한다.안젤라를 만난 이후 레스터는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사람처럼 장미빛 환상을 꿈꾸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삶을 거부한다. 지긋지긋하던 회사를 때려치우고 70년대 유행하던 스포츠 카를 사고, 젊었을 때 피웠던 대마초도 다시 피우면서 안젤라가 원하는 멋진 근육질 몸매를 만들기 위해 운동을 시작한다. 레스터의 집안에서 붉은 장미를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그의 가정이 본능에 충실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