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09:28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hwp
오히려 이 노래에서 서정적 자아는 지금은 같이하고 있지 않은 님을 그리워하되, 차안적(此岸的) 삶의 고통과 고뇌를 상징적으로 노래함으로써 님에 대한 그리움을 종교적
다. 그러나 현대적 안목에서 이 노래를 보는 견해는 달라야 한다. 이 노래는 <만전춘>, <정석가>, <사모곡>, <가시리> 등과 같이 『악장가사』에만 실려 있을 뿐 『고려사』나 다른 문헌에 그 명칭이나 내용에 대한 설명(說明)이 없으므로 고려 속요라고 단정할 만한 근거는 없다. 그러나 형식 및 내용, 그리고 운율적 정조가 다른 고려 가요와 비슷하여 고려 속요로 간주되는 작품이다.





.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이상곡>은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로, 궁중악 중 하나인 속악에 속한다.
<이상곡>에 관련된 문헌으로는『세종실록』,『경국대전』,『성종실록』,『악장가사』,『대악후보』,『병와선생문집』 등이 있따 이 중 『세종실록』과 『경국대전』에서는 이상곡이 향악정재의 속악가사로 존재했다는 기록이, 『성종실록』에는 쌍화곡, 북전 등의 노래와 함께 가사가 산개되었음이 기록으로 남아있따 또 『악장가사』,『대악후보』에는 <이상곡>의 가사만이 실려 있지만 『고려사』악지나 『악학궤범』에는 <이상곡>에 대한 어떠한 기록도 보이지 않는다.
.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hwp( 65 )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설명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시가작품지도론 - 이상곡
이 노래는 님에 대한 환상과 정욕의 번민에 떠는 여심을 노래하였다고 하여 <만전춘>, <쌍화점>과함께 男女相悅之詞에 해당된다고 알려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