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16:50본문
Download :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hwp
그러므로 이 노래는 그가 조정에서 물러나 동래에 은거한 뒤인 의종 5년(1511) 9월부터 정중부의 난으로 의종이 추방되고 명종이 옹립되어 다시 부름을 받기까지의 사이에 지은 것이라 볼 수 있지만, 그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의종 10년 전후로 추정된다된다. 창작시기에 있어서 양주동 님은 의종시대(의종5년~24년)로, 조윤제 ․ 서수생 님은 동래시대(의종 5년~11년)로, 양염규 님은 거제시대로(의종 20년 이후), 이가원 님은 거제시대 후기(의종 24년 9월~10월)로 보고 있다
⑩ 부엽(附葉) 니미 나 하마 니시니잇()가
Ⅲ ⑦ 이엽(二葉) 過도 허믈도 千萬업소이()다
그 후 이 노래는 충신연군지사로 널리 알려져 익재 소악부에 한시로 번역되었고, 궁정에서 이를 전악(典樂)으로 보존하여 공기(工妓)는 물론 사대부 사이에서도 모두 학습하도록 하였다.
⑧ 삼엽(三葉) 힛 마러(리)신뎌
<정과정>은 국문으로 정착된 고려가요 중에서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노래로 ‘충신연군지사’이다. 작자 정서(鄭敍)는 인종의 총애를 받는 외척이었으나, 의종이 즉위하자 권신들의 의견대립으로 인한 조의(朝議)에 몰리어 고향 동래로 돌아가 부름을 기다리게 되었다. 금방 불러 주리라던 의종이 불러주지 않자 자신의 결백을 호소하는 한편, 다시 불러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노래를 지었다. 그러나 의종이 즉위하자 권신들의 대립으로 인한 조의(朝儀)에 몰리어 고향 동래로 귀향을 가서 다시 부름을 기다리게 되었다. 박병채, 새로 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1994, 170~171쪽
Ⅱ. 본론
Download :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hwp( 72 )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Ⅰ ① 전강(前腔) 내 님믈(을) 그리와 우니다니
.
박병채, 앞의 책, 172~190
Ⅱ ⑤ 대엽(大葉) 넉시라도 님은 녀져라 아으
Ⅳ ⑪ 오엽(五葉)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소셔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설명
순서
⑥ 부엽(附葉)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출전: 악학궤범(樂學軌範), ( )은 봉좌문고본 악학궤범과의 대교
<정과정>은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창작배경 및 작자 정서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고전간행회본 외 Japan에서 발견된 봉좌문고본『악학궤범』에 전문이 실려 있다 『대악후보』에는 곡조와 노래가 아울러 전하고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④ 부엽(附葉) 殘月曉星이 아시리이()다
⑨ 사엽(四葉) 읏브(븐)뎌 아으
.
1. 정과정 전문 및 어구풀이 김명준 편저, 고려속요 집성, 다운샘, 2002, 77~97쪽





.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歷史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정과정 - 전문 및 어구풀이 작품분석 역사적 배경 성격 문학사적 의의
② 중강(中腔) 山졉동새 난 이슷요이다
③ 후강(後腔) 아니시며 거츠르신 아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