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이형행)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5 05:19본문
Download : Ⅰ-3.hwp
제 6장 교육과정
제 7장 교수, 학습과정
2.교육의 기본전제
이형행 교육학개론 교육학원론 교육학개론요약 이형행교육학개론 / 이형행,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Ⅱ. 본 론
1.교육의 관념
교육학개론 (이형행)
설명
제 8장 생활지도
교육을 ‘인간행동 특성(特性)을 계획적으로 alteration(변화) 시키려는 과정’ 이라고 본다면, 이러한 교육은 인간이 alteration(변화)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다.
이형행 교육학개론 교육학원론 교육학개론요약 이형행교육학개론 / 이형행,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이형행 교육학개론 교육학원론 교육학개론요약 이형행교육학개론
alteration(변화) 할 수 있다는 전제는 alteration(변화) 자체가 발전적일 수도 있고 퇴보적일 수도 있다 는 것을 예상해야 하고, 그렇기 때문에 alteration(변화) 라는 신념의 전제는 발전적이고 진보 적인 alteration(변화) 만을 의미해야 한다는 뜻이다. 무론 그 alteration(변화) 는 의도 적이고 계획적인 추진에 의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진 alteration(변화) 를 뜻한다.
Download : Ⅰ-3.hwp( 77 )
교육에 대한 기본 전제로서 인간에 대한 신념이 최우선 조건이다. 현제까지 내려진 교육에 대한 정이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整理) 해 보면 기능 적 정이, 규범적 정이, 조작적 정이 등이 있다아 기능적 정이는 한마디로 교육을 무엇을 위한 수단으로 규정하려는 입장이고, 규범적 정이는 교육을 그 궁극적 목적과 결부시켜 규정한 것이다. 인간에 대한 깊은 믿음은 여러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으나 그중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념,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신념, 인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념, 그리고 인 간의 과학적 이해 가능성에 대한 신념은 교육을 성립시키는 대전제가 되는 신념 들이다.
제 11장 교사론
Ⅰ. 서 론
Ⅲ. 결 론
제2장 교육의 歷史적 기초
순서
제1장 교육의 이해
교육의 관념은 정이에 의해서 그 의미가 분명해진다. 여기에 교육의 생명이 있는 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 9장 교육평가
제5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제4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3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제 10장 교육행정과 조직
제1장 교육의 이해
다. 즉, 관념의 이미를 구체적 으로 밝히는 것이 정이라고 할 수 있다아 교육에 대한 정이도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내려져 왔고 지금도 내려지고 있으며 또 앞으로도 내려지게 될 것이다. 따라 서 교육은 그 방향 여하에 따라 인간과 사회를 긍정적, 발전적, 진보적으로 alteration(변화) 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만 성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작적 정이는 교육을 기술적 또는 조작적 견지에서 정이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