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18 03:00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hwp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고전시 서동요 풍요 헌화 모죽지랑 찬기파랑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순서
Download :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hwp( 30 )
고전시가
1. 서동요(薯童謠)
원문(原文)
善花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卵乙抱遣去如
[語句풀이]
▪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니믄) : 선화공주님은
▪ 他密只(타밀치) : 남모르게.
그스지 ` 그지(울림소리되기) ` 그기(강화현상) ` 그윽이(자음탈락)
▪ 嫁良置古(가량치고) : 남 모르게 얼어 두고. ‘얼다’는 ‘시집가다, 정을 통하다’의 뜻.
▪ 薯童房乙(서동방을) : 맛둥방. 맛둥 도련님을, 서동이를. `마`는 `감자`, `둥`은 `아이`로
`…(투비컨티뉴드 )
인문어학,고전시,서동요,풍요,헌화,모죽지랑,찬기파랑,인문사회,레포트
[인문어학]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