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05 19:36본문
Download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_2060216.hwp
왜냐하면, 그는 인간에게 있어서 육체가 아니라 영혼이 형상들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 도덕의 관심이 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일것이다
그의 저서인 「국가론」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은 영혼을 세 부분으로 나눈 이론(理論)이다. 이성, 혈기, 욕망은 어느 인간에게서나 나타나지만, 어떤 요소가 우세한가에 …(skip)




플라톤과아리스토텔레스의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플라톤과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과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과아리스토텔레스의인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는 여기서 욕망과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이성이 아니라 분개나 화 또는 혈기(Spirit)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를 수 있는 세 번째 요소라고 주장한다. 영혼의 비 물질론과 불멸론은 형상의 세계와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물질의 세계라는 플라톤의 대비와 자연히 관련되는 이론(理論)이다. 플라톤은 어린아이들이 이성을 갖추기 훨씬 전에 혈기를 보여 준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 혈기는 일종의 자기 주장 혹은 이기심 같은 것이다.순서
Download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_2060216.hwp( 11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은 인간을 이원적으로 보는 견해를 마련해 준 주요원천 중의 하나다. 그 첫 번째 요소를 욕망 혹은 정욕(배고픔, 갈증 혹은 성욕 같은 모든 육체적 욕망을 뜻함)이라고 부르고, 두 번째 요소를 이성이라고 부른다. 이 이원론에 의하면, 인간의 영혼이나 정신은 육체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비 물질적인 실체다. 즉, 영혼은 인간이 탄생하기 전에도 계속 존재해 있었고, 그가 죽은 후에도 영원히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가령 목이 타는 듯한 갈증을 느끼나, 물에 독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손에 넣을 수 있는 물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갈등을 생각해 보라. 플라톤은 그 사람의 마음에 그 물을 마시도록 유혹하는 첫 번째 요소와 그것을 금하는 두 번째 요소가 있다고 논한다. 플라톤은 인간의 마음에는 이 외에도 세 번째 요소가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고 믿는 바, 즉 시체더미를 보고자 하는 불 같은 욕망을 느끼나, 그것을 보고자 하는 자신에게 혐오를 느끼는 사람의 이야기에서 예를 들고 있듯이, 스스로에 대한 화나 분개의 감정이 느껴질 때 생긴 정신적 갈등의 경우가 그것이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이 파괴될 수 없다.